크헤 메인보드 자동 자동 오버(Crosshair Performance Enhancer) 기능 설명


크헤6(Crosshair 6,x370)와 크헤7(Crosshair 7,x470)에는 다른 라이젠 메인보드와 다르게 ‘PBO’ 외 ‘Performance Enhancer’라는 자동 오버 기능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자세한 설명이 없는 덕분에 많은 분들이 PBO와 PE간 기능 혼동을 겪는거 같아 PE 기능에 대해 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시작하기 앞써

아직 작성 중인 글입니다.

※ 임시글로 혼자 작성하면 너무 오래동안 묵혀놓고(오래동안 작성하다가 뒤늦은) 공개하거나, 작성하다 멈추어 버리는 경우(귀차니즘에 승리로 글 포기)가 많아 작성이 끝나지 않았어도 어느정도 글이 작성되었다면 선공개 후 내용을 지속 추가해 마무리하는 방식으로 글을 작성 진행 중입니다. 그래서 아직 작성 중이라는 문구가 있다면 1~2주 뒤에 오셔야 완성된 걸  읽으실 수 있습니다. (중간 중간 내용 수정이 많습니다) 혹 완성된 내용을 읽고 싶으시다면 나중에 다시 방문을 추천드립니다. 최대한 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나름의 방법(극약처방)이라 이와 같이 작성 중이니 많은 이해 부탁드립니다.

본 포스트는 XFR2와 PBO 기능에 대해서 이해가 필요함을 미리 알립니다. 혹시 정보가 필요하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Performance Enhancer(이하 PE) 기능은 크헤 시리즈에만 있는 특별한 자동 오버클럭킹 기능으로써 ASUS와 협업하는 오버클러커 ‘Stilt’의 아이디어(=원작자)로 만들어진 기능입니다.

(크헤6때는 RAM 오버클럭을 위해 Stilt 프로파일을 만들어 넣더니, 이번 크헤7때는 CPU 오버클럭 기능을 만들어 넣으네요. 참고로 해외 포럼에서도 언급되어 있지만 BIOS 설명에도 원작자가 Stilt라고 표기되어 있습니다.ㅎㅎ)

덕분에 크헤 시리즈에만 PBO 항목 외  PE라는 자동 오버클럭 기능이 하나 더 존재하게 되었는데요.

문제는 해당 기능에 대해 설명이 부족하다보니 PBO 기능과 차이를 알수가 없어 혼동이 오는데요.

PE 기능을 간단하게 정의하자면 ASUS가  트윅(Tweak)해  만든 커스텀 버전의 PBO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PE 역시 기능을 활성화하면 PBO와 같이 자동으로 코어 클럭을 오버클럭해주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이 PE 기능에 대해서 자세히 이야기 드리자면 PE Level 1과 PE Level 2기능은 일종의 PBO Profile Load 기능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PBO기능을 지원하는 메인보드라면 PBO를 Auto로 Enable하는거 이 외에도 매뉴얼(Manual) 모드로 Enable해 XFR2 제한 수치값을 사용자 임의로 값을 넣을 수 있는데요

PE 기능을 이용하면 ASUS사가 넣어둔 XFR2 제한치 값을 불러와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겁니다.
(불러오는 값은 하단 테이블에 기록해 두었습니다.)

다만 언급한 PE Level 1과 PE Level 2 설정만요.

나머지 PE Level 3(OC)와 Level 4(OC) 기능은 OC(Over Clock)라 적혀 있는 것처럼 정말 수동 오버클럭과 유사한 효과를 볼 수 있게 PBO Profile Load 외에도 별도의 트윅 기능을 활성화를 시키는 단계입니다.

이 트윅 내용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어떤 원리인지 상세하게 공개 되지 않았는데요.
일단 PE 원작자 Stilt와 Asus 보드 개발 스탭 Elmor가 공개한 내용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원본글]
공개한 크헤의 PBO와 PE 기능 사용 시 XFR2 리미트 값 테이블 (텍스트 내용을 표로 정리함 )


PE Level 3(OC)
Tweak from The Stilt which disables the power and current calculation, you might see the SMU calculated power/current in HWInfo showing 0 when using it.


PE Level 4(OC)
The tweak from The Stilt + Level 2 XFR2 settings. I think Level 4 is way higher than most will be able to run, typically yielding something like 4.35G 1T and 4.30G nT frequency.
[기계 번역+의역+추가 해설]

PE Level 3(OC)
Stilt의 트윅으로 전력 및 전류 계산을 비활성화합니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면 HWInfo에서 SMU 계산 된 전력 / 전류가  0으로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하단에서도 언급하겠지만 실제로 해보면 HWinfo의 Core Power 항목이 사라집니다. 

PE Level 4(OC)
Stilt의 트윅 + Level 2 XFR2 설정 적용. 일반적으로  1쓰레드는 4.35G로 다수의  쓰레드는 4.30G 주파수로 동작해 대부분 실행가능한 수준보다 Level 4가 더 높을꺼라 합니다.

※ 실제로 사용해보면 Level 3은 1T 4.35G/nT 4.15G를 보이고 Level 4는 1T 4.35G/nT 4.25G 클럭을 보입니다.

그래서 실제로 PE Level 3(OC)와 PE Level 4(OC) 기능을 사용해보면 언급되어 있는 ‘전력/전류 제한’이라는 것 때문인지 정말 SMU(전력) 값이 없어지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Stock 상태 인 경우 

PE Level 4 (OC) 인 경우

그리고 이 전력 계산 제한은 단순 전류만이 아닌 전압에 대해서도 정보를 Cut 수행하는지 Core 별 전압 역시 이상하게 모니터링 되는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PE Level 2 상태 인 경우 

PE Level 4 (OC) 인 경우

※  그래서 PE Level 3 (OC), PE Level 4 (OC)를 사용할 때에는 Core 전압을  CPU Core Voltage (SVI2 TFN) 항목의 값을 참고해 보시는게  좋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설명에는 업급되어 있지 않지만 PE Level 3 (OC), PE Level 4 (OC) 기능은 기본적으로 XFR2를 활용하는 PBO의 원리를 참고해 만든 기능이라 그런지 특정 조건(개인적으로는 부팅시 CPU 온도)에 따라 올코어 시 클럭이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 제가 PE Level 4 (OC)를 사용해보니 부팅 시 CPU 온도가 낮으면 올코어 클럭이 4.3Ghz까지 나오지만, CPU 온도가 높으면 4.2Ghz까지 떨어지는걸 볼 수 있었습니다.

( 클럭 스샷 추가 예정 )

이 정도면 PE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끝난거 같은데요. 

마지막으로 한가지 더 이야기해 보자면  PE 기능을 사용시에는 윈도우 전원 관리 기능을 윈도우 기본 균형으로 사용하는걸 추천하고 있다는 겁니다.

이 부분은 해외 포럼에도 나오지만 BIOS에 설명을 읽어보면 ‘PE 기능을 사용하실 때는 전원 관리 기능은 OS Banlanced 즉 윈도우 기본 균형을 사용하는걸 추천’하는 내용이 담겨져 있습니다.

[원본글]

Allows the CPU to maintain boost frequencies longer, resulting in higher performance. Level 3/4 are overclocked settings which might not work with all CPUs, or may require additional voltage. Level 3/4 works best with the Balanced OS power profile. Credits to The Stilt.
[기계 번역+의역+추가 해설]
CPU가 Boost Clock을 더 오랫동안 유지하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Level 3/4는 오버클럭 된 설정이라  모든 CPU에서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추가 전압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Level 3/4는 전원 프로파일(전원 옵션)을 OS Balanced(윈도우 균형 조절)로 설정 시 잘 동작합니다. 제작자 The Stilt

그리고 전원 관리 옵션을 조절해 사용하면 공개한 정보처럼 코어 사용 갯수에 따라 능동적으로 클럭을 조절하는 매력적인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해당 동작 스샷 및 내용 추가 예정 )

 


마무리

여기까지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PE 기능은  PBO나 CPU Overclock에 대해 자세히 모르더라도 단계별 설정으로 자신의 환경에 가장 적합한 상태로 CPU 성능을 최대로 끌어 올릴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기능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PE Level 3 (OC)와 PE Level 4(OC) 기능에 대해서는 전류/전력 계산을 제한하는 기능으로 인해 CPU에 어떠한 악영향을 줄 지 모르기에 조금 더 정확하게 기능이 공개되거나 심도 있는 분석이 나오기 전까지는 해당 기능에 대한 사용을 자제하자는 유저분들도 있고, PE 기능 레벨에 관계 없이 CPU 자체의 안전 기능은 여전히 동작하기 때문에 ‘전압’에 대해서만 잘 설정하면 사용에 문제가 없다라는 의견도 있어 어떤게 맞다 틀리다 볼 수 없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저 역시 전압에 대한 설명만 잘 한다면 PE Level 3 (OC)와 PE Level 4(OC) 기능 사용에 문제가 없다고 보는 편이라 끝부분인 ‘마무리’ 장에 부정적인 의견도 잠시 언급해 보았습니다.

사실 굳이 윗 내용은 적을 필요는 없겠지만 이런 내용도 있구나 하는걸 아시고 가시는게 좋을꺼 같아 작성해 보았습니다.

이것으로 Asus 크헤 보드에만 있는 PE 기능에 대해 설명을 끝내봅니다.
다음에는 언제쯤 될지 모르겠지만 ‘PBO와 PE 실사용을 위한 세팅’ 혹은 ‘HWinfo’에 대해 정리하려 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첨언1

PE 기능 자체가 PBO를 활용하는 기능이다보니 PE를 설정 후 PBO를 Enable 설정하시는 경우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수정이력
20180514 : 작성 시작
20180519 : 1차 작성 완료
20180524 : 공개 시작
20180601 : XFR2 테이블 추가
20180604 : HWinfo 정보 추가
20180605 : HWinfo 스샷 추가
20180608 : 윈도우 전원 내용 추가